주변 환경에 맞춰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꾸며 이동할 수 있는 액체 로봇 '피비(PB)'를 개발했다

서울대와 가천대 연구팀이 주변 환경에 맞춰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꾸며 이동할 수 있는 액체 로봇 '피비(PB)'를 개발했다. 피비는 '입자를 두 른 액체 로봇(Particle-armored liquid roBot)' 이라는 뜻이다.

이 로봇은 물 분자와 잘 결합하지 않는 소수성 입자 알갱이가 액체 방울을 감싸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따라 모양이 변하는 액체의 성질과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고체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다. 따라서 심하게 눌리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원래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다.

액체 로봇은 세포와 비슷한 구조이다. 세포도 지질 껍질(세포막)과 그 안의 물질(세포질과 핵)로 이뤄져 있다. 또 세포처럼 변형, 분리, 합체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이 로봇의 다양한 기능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영화 <터미네이터 2>에 등장하는 액체 로봇 T100처럼 철창 사이를 빠져나가는 유연성을 발휘했다. 또 외부 물질을 포획해 내부로 흡수한 후 이를 운반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로봇이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런 기능을 활용하면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을 이 로봇에 담아 몸 안에 투입하는 등 질병 치료용으로 쓸 수 있다. 또 매우 좁은 공간을 통과 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하면 복잡한 기계 내부, 험준한 지형의 장애물 사이, 재난 지역의 탐사, 청소, 화학 물질 제거용으로도 쓸 수 있다.

작은 화학 반응기로 쓰는 것도 가능하다. 각기 다른 화학 물질을 적재한 두 로봇을 떨어뜨리면 두 로봇 속의 화학 물질이 테프론 껍질 내부에서 만나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실렸다.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