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는 없는 푄 현상

일본 호쿠리쿠 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형과는 다른 핀 현상이 대부분이었다.

‘핀 현상’이란 바람이 산을 넘을 때 따뜻하고 건조한 하강 기류로 변함으로써 산기슭의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과학 수업이나 날씨 예보에서도 흔히 듣는 기상 현상이다.

그 발생 메커니즘은 주로 두 가지로 알려져 있다. 하나는 ‘열역학 메커니즘’이라고 하는데, 바람이 산을 넘을 때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비탈면에 비를 내리게 하고, 그 뒤 건조한 바람이 아래쪽으로 불면서 고온이 된다는 것이다. 교과서 등에서는 이처럼 설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 하나는 ‘역학 메커니즘’이라고 한다. 산악 상공의 바람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비탈면에서 비를 내리게 하지 않고 아래 쪽의 평야로 불면서 고온이 된다는 것이다.

일본 쓰쿠바(筑波) 대학의 구사카 히로유키(日下博幸) 교수팀은 호쿠리쿠(北陸) 지방(일본 중부의 동해쪽 해안 지방)에서 과거 15년 동안 발생한 198회의 푄 현상에 대해 발생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기상 모델과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푄 현상을 일으키는 바람이 어디서 온 것인지를 분석하고, 이 경로상의 강수 유무나, 바람 경로의 고도 등을 통해 발생 메커니즘을 특정한 것이다. 그 결과 이들 푄 현상 가운데 약 80%는 역학 메커니즘으로 발생했다.

또 얼핏 보기에 열역학 메커니즘으로 보이는 것도 실제로는 역학 메커니즘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순수한 열역학 메커니즘에 의한 푄 현상은 일본(적어도 호쿠리쿠 지방)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 같아, 교과서 등의 설명에도 변경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내용은 일본 쓰쿠바 대학 보도 자료, 2021년 5월 17일에 게재되었다.

출처: 뉴턴 2021.09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