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기초기술?
수많은 암 치료 기술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암 치료법의 공통된 목표는 암 세포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암 세포가 저항성을 키우고 재발하는 것과 건강한 세포의 파괴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을 포함하여 근본적인 한계에 직면합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이 대장암 세포를 죽이지 않고도 정상 대장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전환해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종양 형성 과정에서 정상 세포가 분화 경로에 따라 퇴행한다는 관찰에 집중했습니다.
이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그들은 정상 세포의 분화 경로와 관련된 유전자 네트워크의 디지털 쌍둥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정상적인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주요 분자 스위치를 체계적으로 식별했습니다.
이러한 스위치를 대장암 세포에 적용했더니, 암세포는 정상과 같은 상태로 돌아갔는데, 이 결과는 분자 및 세포 실험과 동물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우연한 발견에 의존하기보다는, 암세포 유전자 네트워크의 디지털 트윈을 분석하고 활용함으로써 암세포 역전이 체계적으로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암에 적용될 수 있는 가역적 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조광현 교수는 "암세포가 정상세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현상입니다. 이번 연구는 그러한 역전이 체계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 연구는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가역적 암 치료의 새로운 개념을 소개합니다. 또한 정상 세포 분화 경로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암 역전의 표적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 기술을 개발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사업 및 기초연구실사업을 통해 지원되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BioRevert Inc.로 이전되어 실용적인 암 역전 치료법 개발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출처: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4/12/241223135214.htm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